낙석방지망 공법비교
구 분 | 1안 : 고에너지흡수형 낙석방지망 | 2안 : 고강도 텐션(테코)네트 | 3안 : 일반 낙석방지망 |
공법 개요도 |
![]() |
![]() |
![]() |
공법 상세도 |
![]() |
![]() |
![]() |
공법 개요 |
비탈면에 와이어로프와 아연도금 능형망을 사용하되, 완충구내에서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한 소성변형에너지로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일반 낙석방지망에 비하여 수십배의 낙석에너지를 흡수 또는 하부로 유도하는 방식 | 유연성(Flexible) 구조체로 프리텐션닝을 통해 표면 응력을 강화하고, 락볼트로 지반전단강도를 제고시켜 텐션네트․락볼트간 힘을 상호 접선이동시킴으로써 전체비탈면을 일체화하여 표면 낙석보호와 심층파괴에 대처하는 방식 | 종횡와이어로프에 간격유지대를 설치하여 능형망에 미치는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일정하게 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높인 공법 |
장단점 | ∙국내 낙석방지망 공법 중 흡수가능에너지가 제일 큼 ∙와이어로프에 프리텐션을 가할 수 있음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낙석 후 완충구의 조정만으로 보수 가능 ∙능형망 및 와이어로프, 완충구가 용융아연도금으로 되어 부식에 대한 내구성 우수 ∙PVC코팅망이 아닌 φ4.0mm 아연도금 능형망을 사용하여 내구성이 우수 |
∙국부적 파괴시 유연한 구조체로 파괴하중과 일체 거동하면서 비탈면 안정화 구현 ∙고강도 텐션(테코)네트와 네일의 일체화로 표면 낙석보호와 심층파괴에 대한 이중 안정성 확보 ∙파손 시 부분적인 보수가 곤란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큼 ∙수입자재로 공사비 고가 |
∙ROCK BOLT에 의한 낙석 탈락 방지 효과 기대 ∙굴곡이 심한사면에도 적용성이 우수함 ∙대형 낙석발생시 대처미흡 ∙낙석이 NET내부 중간에 위치하므로 낙석제거 및 보수곤란 ∙공사비가 저렴하나 낙석발생후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함 |
성능 | 흡수가능에너지 1,000kJ이상 | 흡수가능에너지 1,000kJ이상 | 흡수가능에너지 50kJ이하 |
경제성 | 122,000원/m2 | 180,000원/m2 | 60,000원/m2 |
적용안 | ◎ | ||
적용 사유 |
∙본 현장은 전 연장 대부분 구간에서 낙석이 발생 가능성이 높고, 낙석의 크기가 크며, 낙하높이가 매우 높음. 3안은 낙석방지망의 성능이 본 현장에서 발생가능한 낙석에너지를 방호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2안의 경우 안정성은 확보 되나 수입자재를 사용하여 공사비가 매우 고가이고 상부에 낙석이 걸리면 처리비용이 많이 발생 함. 이에 큰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3차 추가의 낙석이 발생할 경우에도 낙석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1안 고에너지흡수형 낙석방지망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됨. |
비탈면 녹화공법 비교(복합지반)
비탈면 녹화공법 비교(복합지반) 구 분 자연생태복원공법 (JSB) 자연표토복원공법(SF) 자생식물녹화공법(NGR) 암절개면보호식재공법(녹생토) 연속장섬유보강공법(텍솔) 공법개요 생태복원형 산
momopapa.tistory.com
비탈면 녹화공법 비교(암반)
비탈면 녹화공법 비교(암반) 1. 암반사면녹화공법 비교 구 분 암 반 사 면 녹 화 공 법 암절개면보호식재공 (녹생토) 자연생태복원공법 (JSB공법) 법면배토습식공법 (ASNA공법) 연속장섬유보강공법
momopapa.tistory.com
information to world
세상의 모든 정보를 공유합니다. 여러분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nfo2world.tistory.com
모모의 일상공감
모모의 일상공감!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monchoucho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