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슬라(TESLA)자동차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주요내용

by momopapa 2025. 5. 2.

  • 테슬라(TSLA)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193.35억 달러로 전년 대비 9% 감소했으며, 자동차 부문 매출은 20% 급감한 139.67억 달러를 기록했다.
  • 에너지 저장 부문은 67% 성장한 27.3억 달러로 호조를 보였고, 2025년에는 저가 모델 출시(상반기 예정), 비감독 FSD 및 로보택시 서비스(6월 오스틴 파일럿), 에너지 사업 50% 성장으로 차량 판매 20~30% 증가와 수익성 회복이 전망된다.
  • 그러나 브랜드 이미지 손상, 관세 리스크, 경쟁 심화는 지속적인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

1.재무 및 운영 성과

  • 매출 및 수익성: 매출 193.35억 달러(전년 대비 -9%), 조정 EPS 0.27달러(월가 예상 미달). 영업이익률 2.1%로 하락, 규제 크레딧(5.95억 달러)이 자동차 부문 손실 완화.
  • 인도량: 차량 인도 336,681대(전년 대비 -13%), 모델 Y 생산 라인 전환으로 일시적 생산 차질. 생산량 362,615대(-16.3%).
  • 에너지 사업: 에너지 저장 매출 27.3억 달러(+67%), 분기 저장 용량 10.4GWh. 상하이 메가팩 공장 가동으로 추가 성장 기대.
  • 현금 흐름: 구체적 수치 미공개, 2024년 말 기준 현금 366억 달러 유지 추정.

2. 자동차 사업

  • 모델 Y 리프레시: 4개 공장(프리몬트, 상하이, 오스틴, 베를린)의 모델 Y 생산 라인 전환 완료, 신형 모델 Y 램프업 순조로움. 단기 생산 손실로 1분기 인도량 감소.
  • 저가 모델: 2025년 상반기 출시 목표, 기존 모델 3/Y 플랫폼 활용해 비용 절감. 가격대는 25,000~30,000달러 추정.
  • 수요 및 경쟁: 미국/유럽 수요 약세, 중국 경쟁 심화(BYD 등). 엘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브랜드 이미지 손상, 유럽 시장 점유율 9.3%로 하락.

3. 자율주행(FSD) 및 로보택시

  • FSD 상용화: 2025년 6월 오스틴에서 비감독 FSD 유료 서비스 파일럿 출시, 2025년 말 미국 전역 확대 목표. 2026년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
  • 로보택시: 6월 오스틴에서 파일럿 서비스 시작, 캘리포니아/네바다 추가 검토. 전용 로보택시 차량(사이버캡) 2026년 양산 목표.
  • AI 투자: Cortex(50,000 H100 GPU 클러스터)로 FSD v13 개발 완료, 2025년 AI 훈련 컴퓨팅 2배 확대 계획.

4. 에너지 및 기타 사업

  • 에너지 저장: 2025년 50% 이상 성장 전망, AI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충전 수요로 메가팩 수요 급증. 상하이 공장 생산 본격화.
  • 휴머노이드 로봇(옵티머스): 2025년 프리몬트에서 소규모 파일럿 생산 시작, 연말까지 수천 대 목표. 2026년 외부 고객 판매 계획.
  • 서비스 부문: 서비스 매출 26.38억 달러(+15%), 슈퍼차저 네트워크 확장 지속.

5. 2025년 전망 및 전략

  • 성장 목표: 저가 모델과 FSD/로보택시 상용화로 2025년 차량 판매 20~30% 성장 예상. 에너지 저장 매출 50GWh 이상 목표.
  • 비용 절감: 차량 1대당 원가 35,000달러 이하 유지, 저가 모델로 규모의 경제 강화.
  • 리스크 관리: 중국/멕시코 공급망 관련 관세 리스크, Waymo 등 경쟁사와의 자율주행 기술 경쟁, 브랜드 이미지 회복 필요성 언급.
  • 글로벌 확장: 멕시코 기가팩토리 건설 진행, 인도 시장 진출 협상 지속.

6. CEO 및 경영진 발언

  • 엘론 머스크: “1분기는 과도기였다. 저가 모델과 FSD 상용화로 2025년은 본격 성장의 해가 될 것”이라며 AI와 로보택시 중심의 장기 비전 강조. 브랜드 논란에 대해선 “제 역할은 혁신을 이끄는 것”이라며 직접적 답변 회피.
  • CFO Vaibhav Taneja: 규제 크레딧 의존도 감소 목표, 에너지 사업과 서비스 부문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

7. 질의응답 주요 내용

  • 수요 회복: 저가 모델과 FSD로 수요 반등 기대, 2분기 인도량 개선 전망.
  • FSD 규제: 미국 내 주별 규제 완화 협상 중, 유럽/중국은 2026년 이후 상용화 예상.
  • 관세 영향: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대비해 북미 생산 비중 확대 계획.
  • 마진 전망: 저가 모델 출시와 에너지 사업 성장으로 2025년 말 영업이익률 8~10% 목표.

8. 결론

  • 테슬라는 1분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저가 모델, FSD, 로보택시, 에너지 사업을 통해 2025년 성장 회복을 자신했습니다. 머스크는 AI와 자율주행 중심의 미래 비전을 강조했으나, 단기적인 수요 감소와 브랜드 논란은 투자자 우려 요인으로 남았습니다. 어닝콜 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9% 상승하며 낙관론을 반영했으나, 2분기 인도량과 FSD 파일럿 결과가 주가 방향성을 결정할 전망입니다.

 

information to world

세상의 모든 정보를 공유합니다. 여러분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nfo2world.tistory.com

 

모모의 일상공감

모모의 일상공감!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monchoucho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