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CM공법 1. UCM(Underground Cement Mixing) 공법 개요본 U.C.M 공법은 지반개량 대상토질과 개량목적에 따라 적합한 지반개량제를 선정하여 선단교반장치와 회전주입을 동시에 실시하여 특수 선단장치로 원지반토에 지반개량재를 교반 혼합하여 대상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다.최근 대규모 건설사업들이 이루어 지면서 각종 연약지반개량공법들이 개발되었으나 고심도(H=20m 이상) 시공시 목적심도 부근에서의 기존 토사와 슬러지 등과의 교반의 미흡으로 설계치(Qu, K) 등을 획득치 못해 지반침하, 공벽붕괴, 차수벽 누수 등의 문제점 등이 발샐하였다.따라서 본 U.C.M 공법은 위 단점을 완벽히 보완한 공법으로써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① 리더에 장착된 오거장비를 구동시켜서 굴착비트를 통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 2023. 4. 15. 흙막이 가시설 지지 공법 비교 흙막이 가시설 지지 공법 비교 구 분 버팀대 공법(STRUT, H-형강) 버팀대 공법(PIPE, 강관) GROUND ANCHOR 공법 공법개념도 공법 개요 ▪굴착면에 흙막이 토류벽을 설치한 후 띠장과 버팀대(STRUT)등으로 버팀을 하면서 굴착하는 공법으로 시공이 간편한 편으로 거의 정방형이고 좁고 깊은굴착에 사용하는 공법 ▪벽체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H-형강대신에 원형 강관을 적용한 공법 ▪굴착면에 토류벽을 설치한 후 띠장과 굴착 배면지반층에 GROUND ANCHOR를 시공하여 지지시키는 공법 장점 ▪강성이 큰 지지구조 ▪인접부지 침범이 없음 ▪보수 및 보강이 용이 ▪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임 ▪버팀대의 압축강도 자체를 이용하므로 응력상태 확인 가능 ▪강축,약축의 구분이 없어 좌굴 및 비틀림에 유.. 2023. 4. 14. 콘크리트 암거(BOX) 공법비교 콘크리트 암거(BOX) 공법비교구 분프리캐스트 공법(PC BOX)현장타설 공법(RC BOX)일반단면시공방법공장 제작 및 현장 조립현장 타설 시공품질-낮은 W/C와 높은 압축강도로 콘크리트 수 밀성 양호-강재거푸집을 이용함으로 정밀한 제품 제작 가능-증기양생과 엄격한 품질관리로 완벽히 설계강도 유지-공장제품으로 정확한 재료계량 강도유지-고품질의 동일한 규격의 제품 제작-현장타설로 외관 불량-높은 W/C와 낮은 압축강도로 콘크리트의 수 밀성 불량-용수시 수중 Con'c 타설로 인한 강도저하-불충분한 양생 시 크랙발생 및 구조적 불안전-현장타설 시 재료분리 우려재료-콘크리트 fck = 35.0MPa-철 근 fsy = 400.0MPa-콘크리트 fck = 24.0MPa-철 근 fsy = 400.0MPa장단점-우회.. 2023. 4. 13. 진동제어 공법 비교(무진동 할암공법) 1. 무진동 할암공법 비교표분 류구 분무진동 할암공법GNRⓇ공법PRS 공법CRS 공법BIGGER공법개 요 도공법개요․절개대상 암반에 일정 선을 따라 천공을 실시, 무진동 암반절개장비 작동부를 굴착공에 장착 피스톤을 상승시켜 암반을 절개후, Breaker나 Nipper로 분리․천공된 구멍에 유압으로 작동되는 소형 피스톤이 다수 박힌 할암봉을 넣은후 유압을 작동시켜 피스톤을 위로 밀어 돌을 강제로 파쇄하는 원리․유압 펌프의 유압력으로 할암봉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1500 TON 이상의 힘으로 암반을 최고 정점에서 완전히 절개후 Breaker나 Nipper로 파단면 분리․사전천공 할암공에 쐐기를 유압실린더로 밀어넣어 취약한 암반부분의 인장력을 증가시킴으로서 파단면을 형성 Breaker나 Nipper로 파단면 분.. 2023. 4. 12. 연약지반 판정기준 연약지반은 단순히 지반조건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약지반상에 축조되는 제체 및 구조물의 종류, 규격, 형식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상대적인 의미로 해석관련문헌상 판정기준과 주변지역의 연약지반 판정 적용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연약지반 판단기준을 도출기관별 연약지반 판정기준부산 에코델타시티 기본 및 실시설계 기준서구 분층깊이일축압축강도 qu(kN/㎡)콘관입저항력 qc(kN/㎡)N 치점성토 및 유기질토10m 미만60 이하800 이하4 이하10m 이상100이하1,200 이하6 이하사 질 토--4,000 이하10 이하토목설계 지침(LH공사, 2014)구 분층깊이일축압축강도 qu(kN/㎡)콘관입저항 qu(kN/㎡)N 치점토 또는 점성토10m 미만60 이하800 이하3 이하10m 이상100 이하1,200 이하.. 2023. 4. 11. 진동제어 공법 비교(저진동) 1. 진동제어 공법 비교표(저진동)분 류구 분저진동 공법제어발파미진동파쇄기전력충격 파암공법개 요 도공법개요․발파지역의 구조물에 따른 허용진동치를 설정후 진동계측치의 회귀분석결과에 따른 지발당 장약량의 규제를 두고 발파․폭약의 사용이 불가능한 지역의 암반 및 콘크리트 파쇄에 이용, 폭발가스량이 적고, 반응속도가 느린 특수 화약류를 사용, 발파․전력충격장치 및 충격셀을 이용한 고전압, 대전류의 순간적인 방전에 의한 급격한 충격력 및 팽창력을 이용 암을 파쇄작업특성․일반발파에 비해 발파 규모 축소․계획 파쇄 가능․기타 진동제어 공법에 비하여 진동, 소음 발생이 우려․소규모, 국부적 작업에 적합․계획 파쇄 가능․진동이 적다.․균열이 존재하는 암반에서 효율성 저하 및 공발현상으로 비산 우려․고가의 화약류 사용․B.. 2023. 4. 11. JSP공법 1. JSP공법(Jumbo Special Pattern) 개요J.S.P 공법은 교반혼합공법(C.C.P공법)에서 발전된 것으로 교반혼합공법은 수평방향으로200kg/㎠의 고압의 경화재(cement paste)를 분사하여서 직경 30∼50cm의 원주상의 개량체를 형성하나 J.S.P공법은 에어제트(air-jet)를 병용시킴으로써 경화재 분출류의 지반 절삭 능률을 증진시켜 개량체의 직경을 80∼120cm로 조성하는 공법이다. 주입재는 주로 시멘트 밀크계가 중심이므로 약액에 의한 환경오염이 적으며, 주입방식은 2중관 롯드 선단에 장착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수평으로 공기와 경화재를 동시에 분사시킨다.J.S.P공법은 천공후에 시공함으로써 계획된 심도와 범위까지 정확하게 지반개량이 가능하고 주변지장물에 지장이 적으며, 지.. 2023. 4. 10. 발파공법-제어발파 공법 비교 1. 제어발파 공법비교표구분Line Drilling라인드릴링Cushion Blasting쿠션블라스팅Pre-Splitting프리스플리팅Smooth Blasting스무스블라스팅개요도개요∙보안물 방향에 천공경의 2~4배 간격으로 천공하여 인위적으로 진동전파 경로 차단∙소량의 분상장약과 전색재 공기에 의한 완충효과∙장약을 자유면쪽에 붙여 수행∙주파발선에 선행발파를 수행하여 인위적 파단면을 통해 진동전파 경로 차단∙최종열에 좁은 공간격, 최소저항선, 소구경 화약을 이용한 약장약으로 주변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천공 간격∙공경의 2~4배∙전열 최소저항선의 0.5~ 0.75배∙넓은 공간격∙공경에 비례∙SD보다 좁은 공간격∙S : W=(0.5~0.8) : 1S : 공간격W : 최소저항선장점및단점∙진동 경감(1열 적용시 약.. 2023. 4. 10. 발파공법-기폭방법 비교 발파공법-기폭방법 비교 구 분 전기 뇌관 전기 뇌관+다단식발파기 비전기 뇌관 전자 뇌관(EDS) 특 징 ∙취급 용이, 시공성 우수 ∙결선확인용이(도통시험기) ∙낙뢰, 누설전류에 취약 ∙제한된 단차로 지발당 장약량 증대 ∙취급 용이, 시공성 우수 ∙결선확인용이(도통시험기) ∙뇌관조합 가능 단수가 300단차이상 가능하여 비전기뇌관발파와 동일효과 창출 ∙낙뢰, 누설전류에 취약 ∙무한단차 적용으로 진동 제어 가능 ∙육안에 의한 결선확인 ∙전기적 위험에 안전 ∙전기뇌관 대비 가격 고가 ∙표면뇌관 기폭시 폭음발생 ∙초정밀 제어 가능 (여굴 최소화) ∙별도의 발파장비가 필요 ∙고가로 경제성에 취약함 적 용 ◉ 적 용 사 유 ∙ 최근 국내터널발파 현장에서의 전기뇌관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감안, 작업 안전성이 유리하고 .. 2023. 4. 7. 토목 계측 - 흙막이 가시설 계측관리 1. 계측기 종류 및 설치간격 계측기 설치를 위한 위치계획은 지중경사계, 지표침하계, 응력계/하중계 및 지하수위계는 근접구간 설치를 지향하며, 설치간격을 50m 이내로 하여야 한다. 구분 계측항목 비고 지중경사계 ∙흙막이벽체 배면 지반의 수평거동 - 지표침하계 ∙지반의 침하량(개소당 3ea) - 건물경사계 ∙인접 구조물의 기울기 및 피해정도 - 건물균열계 ∙구조물의 표면 및 연결부 틈새의 크기변화 - 변형율계 ∙STRUT의 응력 측정 - G/A 하중계 ∙G/A의 하중 및 인장력 측정 - 지하수위계 ∙굴착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 - 2. 계측빈도 굴착지반의 거동은 일일 굴토량과 작업기계, 기상(우천)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데이터의 변화속도와 안정성 여부의 관련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정한 측정빈도를 설정해야.. 2023. 4.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