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umbnail [메리츠증권 김준성] 테슬라(Tesla)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요약 1. 2023년 2분기 실적 Summary 매출 $24.9bn, 컨센서스 $24.7bn 부합 매출 총 이익률 18.2%, 컨센서스 18.2% 부합 non-GAAP EPS $0.91, 컨센서스 $0.80 상회 (+14%) 가격 인하 + 달러 강세 + 개발비 증가 (4680 ramp-up, 사이버트럭 ramp-up, FSD 및 Dojo 확장)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대 판매/생산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 원자재 가격 하락 + IRA Credit 확보 + 에너지 및 서비스 비즈니스 외형 성장 및 손익 개선으로 컨센서스 상회 EPS 기록 2. 영업 실적 Highlight 생산량 48.0만대 (+86%), S • X 1.9만대 (+19%) + 3 • Y 46.0만대 (+90%) 판매량 46.6만대 (+83%), .. 2023. 7. 20.
[메리츠증권 김준성]테슬라 23년 1분기 실적 [메리츠증권 김준성]테슬라 23년 1분기 실적 Tesla 1Q23 1. 실적 요약 - 연결 매출 $23.3bn, non-GAAP EPS $0.85 기록,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 2. 연결 매출 $23.3bn (+24%, 이하 YoY) - 생산량 44.1만대 (+44%), S • X 1.9만대 (+37%) + 3 • Y 42.1만대 (+45%) - 판매량 42.3만대 (+36%), S • X 1.1만대 (-27%) + 3 • Y 41.2만대 (+40%) - 재고일수 15일 (+400%), 여전히 산업 평균 (56일, 미국 기준)보다 낮으나 소비 둔화 기조 속 공격적인 공급 확장과 더불어 상승세 - 자동차 부문 매출 $20.0bn (+18%), 자동차 부문 매출총이익률 21% (-12%p) - 자동차 부문 .. 2023. 4. 20.
thumbnail [메리츠증권 김준성]Tesla Investor Day [메리츠증권 김준성]Tesla Investor Day ▶ Tesla의 성장 전략 (상세 설명은 지난 2월 6일 발간, EV War 참고) - 최대 생산/ 최대 판매 → ‘영업 레버리지 효과’에 근거한 실적 개선 → 기술 진전을 통한 원가 통제 및 가격 인하 → 최대 생산/ 최대 판매 - 과거 10년 Tesla와 기존 자동차 업체들 간 회계적 성과 차이: Tesla 원가율 유지 + 판관비율 지속 하락 통한 영업이익률 개선 vs. 기존 자동차 업체들 판관비율 유지 + 원가율 변동과 연동해 영업이익률 등락 - 성장 전략의 알파와 오메가 = 높은 판매 성장 지속 - 2023년 Tesla 판매 가이던스, 180만대 (+37% YoY)에서 200만대 (+50% YoY) 범위 - 지난 1월 4Q22 실적 발표 CFO.. 2023. 3. 2.
thumbnail 스페이스X 차세대 스타링크 V2 미니 위성 공개 스페이스X 차세대 스타링크 V2 미니 위성 공개 21대의 첫번째 V2 위성들이 2/27에 발사되어 궤도에 진입함 위상 배열 안테나와 Backhaul용 E-Band의 사용으로 이전 버전보다 최대 4배 많은 용량을 제공 더 많은 대역폭과 향상된 안전성으로 전세계 수백만명의 사람에게 고속 인터넷을 제공 가능 V2 Mini 위성은 궤도에서의 기동을 위한 Argon Hall 추진기가 장착됨 아르곤 홀 추진기가 우주에서 작동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1세대보다 2.4배의 추력, 특정 임펄스는 1.5배 높음 추력 170mN, 특정 임펄스 2500s, 총 효율성 50%, 4.2 kW 전력, 2.1kg 추진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 연료인 Xenon 추진제가 비싸서, V1/V1.5 때는 Krypton Hall 추진기로 교체해서.. 2023. 3. 2.
thumbnail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1. CPI 정의 CPI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의 약어로, 일정 기간 동안 일반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CPI는 특정 기간(일반적으로 한 달) 동안 소비자물가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됩니다. CPI는 특정 시기의 물가 변화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국가의 경제적인 건전성과 인플레이션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CPI는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을 저하시키기 위해 중앙은행은 CPI를 기반으로 금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CPI는 여러 가지 분류체계에 따라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일반.. 2023. 2. 27.
thumbnail 테이퍼링(Tapering) 테이퍼링 정의테이퍼링(Tapering)은 중앙은행이 금융 시장에서 구입하는 채권,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 구매 규모를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즉, 양적완화 정책의 종료와 연결되는 개념으로,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구입한 자산을 줄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테이퍼링은 주로 경기 회복이나 인플레이션 상승 등 경제 상황이 개선될 때 중앙은행이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중앙은행이 테이퍼링을 시행하면, 시장 참여자들은 중앙은행의 자산 구매 규모가 줄어들 것을 예상하며, 이에 따라 금리 상승, 환율 상승, 주식 시장 하락 등의 변동이 예상됩니다.테이퍼링에 따른 금리영향중앙은행이 테이퍼링을 시행하면, 시장 참여자들은 중앙은행의 자산 구매 규모가 줄어들 것을 예상하며, 이로 인해 금리 상승이 예상됩니다.테이퍼링으로 인한.. 2023. 2. 26.
thumbnail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QE)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QE) 정의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금융 시스템 내 자금 공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장에서 자산을 구입하는 정책입니다. 보통 중앙은행은 국채나 회사채 등의 채권을 구입하거나,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자산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에서 유동성을 증가시켜, 경제 활동과 자금 유동성을 촉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양적완화에 따른 금리영향양적완화는 보통 금리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자산을 구입하면 시장에서 자금 공급이 증가하므로, 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는 기업이 저렴한 자금을 빌리기 쉬워지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개인들이 주택이나 자동차 등의 대출을 더욱 쉽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이 촉진되는 .. 2023. 2. 25.
thumbnail 미국주식 QYLD ETF(월배당) 미국주식 QYLD ETF(월배당) 개요 티커 : QYLD 운용사 : Global X Funds 출시일 : 2013년 12월 11일 배당유형 : 월배당(monthly dividend) 운용수수료 : 0.6% 자산규모 : 6.74B 달러 배당수익율 : 12.76% 미국주식 QYLD ETF(월배당) 포트폴리오 기술주, 유통주, 소비자 내구재,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섹터에 투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엔비디아, 메타플랫폼, 테슬라 등 다양한 대형주, 우량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주식 QYLD ETF(월배당) 연간 배당수익 연간 배당수익은 12.76%(2022년) 이며,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배당율이 최근 몇년간 최소 10%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information to .. 2023. 2. 17.
thumbnail 미국주식 SCHD ETF(분기배당) 미국주식 SCHD ETF(분기배당) ▶ 개요 티커 : SCHD 운용사 : Schwab ETFs 출시일 : 2011년 10월 20일 배당유형 : 분기배당(quarterly dividend) 운용수수료 : 0.06% 자산규모 : 47.97B 달러 배당수익율 : 3.32% ▶ 포트폴리오 금융, 기술주, 소비자 내구재,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섹터에 투자하고 있다. 브로드컴, 버라이즌, 텍사스인스투루먼트, 홈디포 등 다양한 대형주, 우량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 연간 배당수익 연간 배당수익은 3.32%(2022년) 이며, 매분기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배당성장률이 최근 몇년간 최소 10%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2023. 2. 16.
thumbnail 미국주식 JEPI ETF(월배당) 미국주식 JEPI ETF(월배당) ▶ 개요 티커 : JEPI 운용사 : JPMorgan Chase 출시일 : 2020년 05월 20일 배당유형 : 월배당(monthly dividend) 운용수수료 : 0.35% 자산규모 : 20.06B 달러 배당수익율 : 11.49% ▶ 포트폴리오 금융, 소비자 내구재,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섹터에 투자하고 있다. 허쉬, 마스터카드, 비자, 코카콜라 등 다양한 대형주, 우량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 연간 배당수익 연간 배당수익은 11.68%(2022년) 이며, 매월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2023. 2. 14.
반응형